">

폐렴구균은

  • 폐렴뿐만 아니라 중이염, 수막염 등 다양한 질병을 일으키는 주법입니다. 특히, 어린이나 노약자, 기저질환을 가진 사람들에게는 심각한 건강 문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가 바로 폐렴구균 예방접종입니다. 그럼 폐렴구균 예방접종 방법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패렴구균 백신

  • 접종 2~3주 후 건강한 성인 80% 이상에서 향체가 형성됩니다. 
  • 침습성 폐렴구균 감영증 예방효과도 50~80%

예방접종 권장대상 

종류 대상자 수수료
일반권장 없음
우선 권장 연령별 65세 이상 성인
질환별 만성심혈관질환자(만성 심부전, 심근병증 포함 ,고혈압은 제외)
만성폐질환자(만성 폐쇄성 폐질환, 폐기종, 천식포함)
만성간질환자(간경변증 포함),당뇨환자
뇌척수액 누출 환자, 기능적 해부학적 무비증 환자
면역저하자
상환별 인광 와우 이식 상태, 알코올 중독자 ,흡연자

면역저하자 선청성 면역 저하, 만성 신부전, 신증후군, 백혈병 ,림프종 ,호치킨병, 종양질환 ,장기간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를 포함한 면역억제제 투여자 치료방사선 요법, 고형 장기이식, 조혈모세포이식, 다발성 골수종 환자

▶50세 이상 성인 중 뇌척수액 누출 및 인공와우 이식 환자, 기능적 및 해부학적 무비증, 면연저하자의 13가 단백결합 백신 접종을 우선적으로 고려할수도 있습니다.

접종 방법

  • 접종기간:연중
  • 접종대상:65세 이상 어르신
  • 접종장소:지정의료기관 (https://nip.kdca.go.kr/)
  • 사용백신:23가 다당질 백신(PPSV23)
  • 접종횟수:65세 이상에서 1회 접종
  • 준비물: 신분증

예방접종 실시 기준

65세 이후 23가 다당질 백신 접종한 경우 접종 불필요,또한  최소 5년 경과후 65세 이상이 되었을 경우 접종 면역 저하자 ,무비증환자 등 접종기준은 13가 단백결합 백신 우선 접종을 고려 할수 있음

기저질환자 주의사항

기저질환자는 의료기관 방문 전에 폐렴구균 예방접종에 대하여 담당 주치의와 먼저 상담후 접종가능 여부 확인 해주시길 바랍니다.

폐렴구균 예방접종 후 주의사항

폐렴구균 예방접종 후에는 접종 부위에서 통증이나 부어오름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가끔 통증 발열, 오한, 피로, 근육통 , 두통, 등의 증상이 나타날수도 있습니다. 대부분은 48시간 이내 소멸합니다.

폐렴 구균 예방접종은 호흡기 감염을 예방하고, 특히 고위험군에게 심각한 질병을 예방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됩니다. 자신의 건강을 위해, 폐렴구균 예방접종을 받는 것을 고려해보세요!

+ Recent posts

티스토리툴바